728x90 반응형 3. 개발 관련191 Android bootchart for Origenboard so so, my uButu machine dose not support hangul!!!! Anyway, I've test about boot time for Origen board on Android(2.3.3). OTL zygote ... ... T^T. 2011. 9. 7. 3. OS가 뭐냐고? (2) 언제나 모든 이야기의 이어짐이 그렇듯, 오늘도 역시 먹다 남은 거 주어먹듯 다시 시작함미다. ===================================================================== Root Filesystem ===================================================================== kernel area (1Gbytes ~ 3Gbytes) Systemcall Interface --------------------------------------------------------------- Virtual Filesystem ------------------------------------------------------.. 2011. 9. 7. 3. OS가 뭐냐고? 언제나 모든 이야기의 이어짐이 그렇듯, 물론 오늘도 말로만 떠듬미다. ============================= Root Filesystem ============================= Operating System ============================= Bootloader ============================= 오늘은 Operating System, 즉 운영체제라는 놈을 글로만 설명해보렴미다. 요녀석은 참 말도 많고 탈도 많으면서도 복잡하고 심오한데, 알면 알수록 까리한 녀석입니다. 희희 흔히들 OS, 운영체제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관리와 제어를 위한 목적으로 구동시키는 녀석이라고 한답니다. 앞서 언급한대로 Linux OS에 대한 이야기를 좀 주절주절 떠들.. 2011. 9. 3. 안드로이드 소스트리 편하게 다루기 TIP? 사실 팁이라 할 것도 없지마는... 희희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 소스라는 녀석은 각종 GUI를 아우르는 루트 파일 시스템이기 때문인지, 소스트리만 1GBytes 를 육박하거나 넘는 사이즈를 자랑합니다. 리눅스 커널도 많많치 않게 복잡하고 방대하지만, 그 사이즈는 100MBytes 언더입지요. 여하튼 개발이나 소스 분석시 좀 더 편하게 안드로이드 소스트리를 다루는 방법을 소개함미다. 우선 안드로이드 소스 디렉토리로 이동합니다. #] source ./build/envsetup.sh 위 커맨드를 실행하면 이제 안드로이드 소스를 편하게 다룰 수가 있게됩니다. 기본적으로 "envsetup.sh" 스크립트는 개발 환경의 편의를 위한 function 들이 구현만 되어있습니다. source 커맨드를 이용하여 실행하고 난.. 2011. 9. 3. 2. 임베디드 리눅스 시작은 Bootloader!!!말고 구조 파악부터! 언제나 모든 이야기의 이어짐이 그렇듯, 다음이야기의 시작은 언제나 앞에 것 우려먹기 입니다. :) ============================= Root Filesystem ============================= Operating System ============================= Bootloader ============================= 이전에 저런 구조로 임베디드 리눅스를 표현했슴미다. 그 중 밑에서 부터 위로 올라가보도록 할 겁미다. bootloader, OS, Root FS 에 대해서 간략히 떠들어 대긴 했슴미다만, 얘들이 어떤일을 하는지 세줄요약 정도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희희 - Bootloader 1) bootloader 는 주로 1 - 3 .. 2011. 9. 2. ep.01 갑님이 부재중인 사이에 ... 그럿슴미다. 제목 그대로 에피소드는 아니고 그냥 주저리주저리 떠들어 대는 시간임미다. "갑님이 부재중인사이에 ..." 주로 담당하는 업무는 커널/부트로더 포팅 및 브링업, 디바이스 드라이버제작 포팅등이고, 요즘 뜨거운 감자인 안드로이드 사이드는 기본 피처들에 대한 포팅을 주로하며 입에 풀칠을 하고 있슴미다. 금주는 그 중에서도 가장 치열하다는 브링업의 기간 임미다... 하드웨어가 뙇!! 하고 제작되면, 별다른 이슈가 없으면 1주일 내에 안드로이드까지의 동작이 확인되어야 함미다. 그래야 개발을 할 수가 있는데... ... 별다른 이슈님이 등장하셨슴미다 희희 하드웨어 사이드인것은 확인 되었고...제가 하드웨어를 하는 것도 아니고... 하드웨어는 그냥 개발 보드 떠가지고 온 것을 쓰고 있는 것이고... 문제를.. 2011. 9. 1.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32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