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3. 개발 관련191 안드로이드 소스 디렉토리 구조 회사일이 이쪽이라 여차저차 안드로이드를 구경하게 생겼으닝, 간간히 조잡한 정보를 정리해보아야겠다. 오늘은 안드로이드 소스 디렉토리 구조, 아래는 git 를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소스를 다운로드 받았을 때 생성되는 디렉토리이며, 다운로드 받은 안드로이드 버전은 'donut ' 이다. 음 ... 열심히 그렸는데 글자가 다 깨져 보이네잉 ㅠㅠ 그르나 클릭하면 원본 나옴 ㅇㅅㅇ 담에는 안드로이드 커널 디렉토리 구조도 정리해보아야겠다. 2010. 3. 17. 우분투 간단 Tip - su를 쓸까, sudo를 쓸까? 우분투에서 계정 변경시 고려할 점. 사용자계정으로 놀다가 root 사용자와 같이 다른 계정으로 변경하는 경우, 나처럼 페도라 코어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라면 아마도 #] su - 를 이용하여 root 사용자로 변경할 것이다. 이 경우 파일시스템을 돌아다니며 이런 저런 파일에 끄적거리거나 apt-get 등을 편리하게 사용한다는 장점이 있지만, 터미널 상에서 커맨드를 이용한 x-window 기반 프로그램들의 실행이 안되는 것을 본 적 있을 것이다. 이는 아마도 USER 만 변경되고, 환경 변수 및 기타 설정 정보등은 그대로 유지되서가 아닌가 싶은데, 이러한 경우에는 #] sudo -i 를 이용하여 root 사용자로 변경하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OK! 그리고 또한 게다가, sudo -i 를 이용하여 변경하는 .. 2010. 3. 16. v2.6 리눅스 커널 이야기 ( NPTL, IRQ Thread, Tickless Mode, hrtimer ) http://chlrbgh0.tistory.com/entry/리눅스-taskstruct-관련 아래 걸린 트랙백의 내용중, 어제 올리고 보니 다시봐도 이해 안되게 써놓은 것 같아 간략히 정리(디테일한 정리는 힘드러영 ㅠㅠ)를 해야지 싶다. * 아래는 일부 사실을 바탕으로한 지극히 주관적인 내용입니다잉 !! 1. Tickless Mode in Linux Kernel What is ?) - Tickless Mode tickless kernel 에 대한 이야기는 이미 수년전부터 연구 및 적용 되어진 내용이며, 이는 개념상으로 시스템 상태 별로 모드를 설정하여 current time 을 체크 하는 부하를 줄이고자 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는 저전력 기법이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한 제반 사항으로, - hrtimer(.. 2010. 3. 10. 리눅스 2.6 커널 Disk I/O scheduling 우리는 리눅스 커널의 Disk I/O scheduling을 흔히 elevator 라고 부르는데, noop, deadline, CFQ, Anticipatory I/O Scheduler 들은 이 elevator 가 사용할 수 있는 I/O Scheduling 방식들이다. Anticipatory I/O Scheduler의경우 read_expire, write_expire 등의 파라미터 등을 이용하여 I/O 작업 및 expire 조건을설정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설정 방법은 비교적 간단하며, 아래와 같다. set Anticipatory I/O Scheduler /*현재 설정 확인*/ ]# cat /sys/block/sda/queue/scheduler noop anticipatory deadline [cf.. 2010. 3. 9. 리눅스 task_struct 관련 2.4 커널 이후, 최신 커널의 task_struct 대한 분석을 한적이 거의 없지만, 종종 필요할 것 같아 위치만 정리! 리눅스 커널 소스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있는 task_struct 는!! "KERNEL_DIR/include/linux/sched.h" 정의 되어 있다. 각 버전에 따라 분석해 본다면 좋은 공부가 될 것이다! v2.6.20 : http://lxr.linux.no/linux+v2.6.20/include/linux/sched.h v2.6.21 : http://lxr.linux.no/linux+v2.6.21/include/linux/sched.h v2.6.30 : http://lxr.linux.no/linux+v2.6.30/include/linux/sched.h v2.6.31 .. 2010. 3. 9. Ubuntu apt-get 기본 사용법 우분투에는 apt-get 이라고 하는 매우 똑똑한 pakage manager 가 존재한다. 사용 방법은 Fedora Core 계열의 yum(yellow update manager) 와 유사하게 느껴지는 데, 계속 사용하다 보니 참 편리한 커맨드인 것 같다. 일반 패키지는 물론 커널 업데이트에도 사용가능하니 얼마나 좋은가잉?! 기본 사용법은 아래와 같다. - abc 라는 이름의 패키지 설치시, sudo apt-get install abc - abc 라는 이름의 패키지 설치 여부 검색시, sudo apt-cache search abc - abc 라는 이름의 패키지 삭제시 sudo apt-get remove abc 뭐 이정도?! -ㅅ-;; 그러나 사실은 시맨틱 패키지 매니저(였나? 이름이 정확히 기억 안난다;.. 2010. 3. 8.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32 다음 728x90 반응형